우리의 산줄기 백두대간과 정맥
▷ 지질구조에 기반한 산맥체계와는 달리 지표 분수계(分水界)를
중심으로 산의 흐름을 파악하고 인간의 생활권형성에 미친 영향을 고려한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산지인식 체계입니다.
▶백두대간(白頭大幹)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체계이며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금강산, 설악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반도의 중심산줄기로서,
총길 이는 약 1,400km에 이릅니다.
(백두산∼두류산∼금강산∼설악산∼오대산∼태백산∼속리산∼덕유산∼지리산)
▶장백정간(長白正幹)
북쪽으로 두만강, 남쪽으로 어랑천·수성천의 분수령.
백두대간의 원산 설령봉에서 시작된다.
만탑봉(2,205m), 괘상봉(2,136m), 궤상봉(2,541m), 등을 지나
함경북도 내륙을 서북향으 로 관통하는 산줄기. 두만강 하구 서수라곶에서 끝을 맺는다.
(원산∼서수라곶산)
▶낙남정맥(洛南正脈)
북 낙동강이 흐르는 낙남정맥은 남부해안지방의 분계선으로 생활문화와 식생, 특이한 기후 구를 형성시키는 중요한 산줄기. 지리산 영신봉에서 시작하여
낙동강 하구 분산(盆山)에서 끝난다. 옥산(614m), 무량산(575m), 여항상(744m),
무학산(763m) 등이 속한다.(지리산∼분산)
▶청북정맥(淸北正脈)
평안북도 내륙을 관통하며 압록강의 남쪽 울타리를 이룬다.
웅어수산에서 시작하여 신의주 남쪽 압록강 하구의 미곶산에서 끝난다.
대암산(1,566m), 삼봉산(1,585m), 등이 속한다.(낭림산∼미곶산)(지리산∼분산)
▶청남정맥(淸南正脈)
웅어수산에서 시작하여 청천강의 남쪽 유역과 대동강의 북쪽 유역을 경계하는
분수령. 묘향 산(1,365m), 용문산(1,180m), 서래봉(451m), 강룡산(446m), 광동산(396m)을
지나 용강의 남포에서 대동강 하구 광량진에서 끝난다.(낭림산∼광량진)
▶해서정맥(海西正脈)
백두대간 두류산에서 시작하여 서해 장산곶에서 끝난다.
우리나라 북부와 중부지방의 문화를 경계하는 분수령이다.
화개산(1,041m), 대각산(1,277m), 설봉산(600m)등이 해서정맥에 속한다.(개연산∼장산곶)
▶임진북예성남정맥(臨津北禮成南正脈)
북으로 임진강, 남으로 예성강의 분수령. 황해도의 오른쪽 울타리를 이룬다.
해서정맥의 화개산에서 시작하여 임진강과 한강의 합수점, 즉
개성의 남산인 진봉산(310m)이다. 학봉산 (664m), 수룡산(717m), 천마산(762m) 등이 속한다.(개연산∼풍덕치)
▶한북정맥(漢北正脈)
한북정맥은 북으로 임진강 남으로 한강의 분수령. 백봉에서 시작한
백암산(1,110m), 법수령을 지나 철책 넘어 대성산으로 이어진다.
교하의 장명산(102m)에서 끝난다.(분수령∼장명산)
▶낙동정맥(洛東正脈)
낙동강의 동쪽을 따르는 산줄기로 매봉산에서 시작하여 다대포의 몰운대에서 끝난다.
동해안 지방의 담장 역할을 한다.
백병산(1,259m), 통고산(1,067m), 백암산(1,004m), 주왕산 (720m),
단석산(829m), 가지산(1,240m) 신불산(1,209m) 등이 속한다.(태백산∼몰운대)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
한강과 금강을 나누는 분수령으로 속리산에서 시작하여 칠현산에서 끝난다.
도산(547m), 상당산성, 좌구산(657m), 보현산(481m)등이 한남금북정맥을 이룬다.
(속리산∼칠현산)
▶한남정맥(漢南正脈)
한강 유역과 경기 서해안 지역을 분계령. 한남금북정맥의 칠현산 북쪽 2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 칠장산(492m)에서 시작 강화도 앞 문수산성에서 끝맺는다.
백운산, 성륜산, 광교산 등이 속한다.(칠현산∼문수산)
▶금북정맥(錦北正脈)
남으로 금강이 흐른다. 한남정맥에서 갈라져 나와 칠현산(516m), 안성 서운산,
천안 흑성산 (519m), 아산 광덕산(699m), 청양 일월산(560m), 예산 수덕산(495m)을 지난다. 태안반도 끝 안흥진에서 끝을 맺는다.(칠현산∼안흥진)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령이다. 장수 영취산(1,076m)에서 시작하여
진안부귀산(806m)까지 이어진다.
장안산(1,237m) 수분현(530m) 팔공산(1,151m), 임실 성수산(1,059m),
진안 마이산 (667m), 등이 속한다.(영취산∼주화산)
▶금남정맥(錦南正脈) (주화산∼조룡산)
금강의 남쪽 울타리. 그러나 온전한 울타리를 이루지는 못한다.
애매한 지점(565m)에서 출발하여 부소산 조룡대에서 끝난다.
대둔산(878m), 계룡산(828m), 운장산(1,126m), 등이 속한 다.
▶호남정맥(湖南正脈)
정맥의 동쪽은 섬진강, 서쪽은 만경강, 동진강, 영산강, 탐진강이다.
낙남정맥과 함께 우리나라 남부해안 문화권을 구획하는 경계선.
금남호남정맥에서 갈래친 후 백운산에서 끝난다.
남도의 큰 산을 모두 끌어앉는다.
만덕산(762m), 내장산(763m), 추월산(729m), 무등산(1,187m),
제암산(779m), 조계산(884m) 등이 속한다.(주화산∼백운산)
◎우리국토의 등뼈를 이루는 중심 산줄기인 백두대간의 유래는
우리민족 고유의 성산인 {백두산(白頭山)}의 신성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백두산은 고대 단군신화로부터 시작해서 언제나 크고 높으며
성스러운 산으로 여겨졌으며 본격적으로 숭배화한 기록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고려 태조 왕건의 탄생설화부터라 생각됩니다.
또한 조선 세종 때 두만강, 압록강을 경계로 하는 국경을 확보함에 따라
백두산은 영토의식 성립과 함께 민족의 산으로 명실상부하게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이후 관찬사료인 세종실록에 [백두산(白頭山)의 내맥(來脈)],
조선왕조 실록에는 산맥 · 정맥 · 대맥 등의 용어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18세기에 이르러 함경도지도, 이익의 성호사설등 고지도와 지리서에
[백두대간]이라는 표기가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