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가의 이야기방 ★/불가의 믿음 공간

백중의 유래..의미

털보아찌 2008. 12. 15. 22:43


이날은 시방 법계에 산재한 일체 유주 무주 영혼 불자들이 고통을 여의고 법락을 얻어 수의왕생하는 불가에서는 뜻 깊은 날이다.

백중(白衆)이라고도 하고 백종(百種)이라고도 하고 백종(魄縱)이라고도 하고 백중(百中)이라고도 하고 심지어 백종(白踵)이라고까지 하는 여러가지의 이름이 있는 날이며 또한 자자일(自恣日)이니 우란분이니 하는 유래 깊은 의미를 가진 날이기도 하다.

백중(白衆)이란 말은 대중에게 고백한다는 뜻입이다.

음력사월 십오일 부터 칠월 십오일까지 만 석달동안 결제(結制)기간이기 때문에 그 동안에는 묵언으로 지내는 것이 거진 원칙으로 되어 하고 싶은 말이든지 묻고 싶은 말이든지 무슨 말이든지 일체를 참고 견디어 오다가 오늘 해제(解制)가 됨에 따라 그 동안에 쌓였던 하고 싶은 말들을 한꺼번에 끄집어 내어 대중에게 고백한다는 뜻이다.

결제중에 모였던 소감이나 공부에 대한 의심의 질문이나 전부를 대중앞에 털어놓아 그 쌓였던 의문과 느꼈던 의사를 숨김 없이 들어내고 또한 잘못된 것을 참회 반성하는 날이라 하여 불가에서는 백중(白衆) 곧 대중에게 고백(告白)한다는 뜻으로 쓰여지는 것이다.

그리고 백종(百種)이라고도 쓰여지는데 이것은 불가와는 관계없이 이때쯤 되면 백가지 햇곡식이 거의 익어 이 처음 나는 햇곡식으로 술도 빚고 떡도 빚고 과일도 차려 조상사당에 올린다고 하여 백종(百種)이라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백가지 종자의 새곡식이 나왔다는 것이다.

그리고 백종(魄縱)이란 업에 얽혀 고통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던 영혼들이 부처님의 법력에 의하여 해방된다고 하는 뜻에서 백종(魄縱) 곧 혼을 놓아 준다는 말이 붙게 되는 것이다.

곧 혼이 해방된다는 말이다.

백중(百中)이라고 흔히 쓰는데 이것은 일년 가운데 가장 중심되는 절기라는 뜻이다.

마지막으로 백종(白踵)이란 말도 있는데 이것은 발뒤꿈치가 희여졌다는 말이다.


농부들이 봄부터 일하기에 바빠 새벽 일찍 들에 나가고 저녁 늦게 들어오게되므로 흙묻은 손발을 꺠끗이 씻을 겨를이 없다가 이때쯤 되면 농사일도 거의 끝이나고 한가하여 발뒤꿈치가 희어졌다고 하는데서 백종(白踵)이란 말이 오게 된 것이다.

그리고 자자일(自恣日)이란 말은 스스로 뉘우친다는 뜻이다.

위에서 말한대로 결제중에 자기가 대중과 같이 살아 오면서 잘못된 점을 반성(反省) 회오(悔悟)한다는 뜻이다.

자기의 허물을 대중앞에 숨김 없이 들어내어 참회하고 다시는 또 그런 허물을 되풀이 하지 않겠다고 맹세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누구나 이 세상에 사는 사람으로서는 가장 소중한 것이 반성이라고 하지 않을 수가 없다.

하루하루의 생활에 잘못이 있었나? 또는 없었나? 어찌하면 보다 나은 인간의 길을 걸을 수 있을까? 하는 것을 살펴서 어딘지 잘못된 곳이 있다면 그것을 시정하는데 힘을 기울어야 향상이 있고 또한 발전이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자자일이란 꼭 이날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어느날 어느 때라도 항상 자기의 각하(脚下)를 반성 참회하는 것이 출가자의 본분인 것이며 불자의 사명일 것이며 나아가 인간의 도리일 것이다.

그런데 특별히 이날을 자자일이라 한 것은 위에서도 말한바와 같이 석달동안 결제중에 무엇인가 잘 못된 것을 발로 참회한다는 뜻이 들어 있는 것이라 생각하는 바이다.

마지막으로 우란분(盂蘭盆)이란 말은 번역하자면 구도현(救倒懸)이란 의미인데 넓은 이 법계에 살고 있는 유주무주 영혼들이 육도중에 떨어져 한없는 고통을 받고 있는 것을  이날 부처님의 위신력과 대중의 지극한 정성으로 괴로움을 여의고 즐거움을 얻게하여 고통의 굴레에서 벗어나도록 한다는 뜻이다.

'★ 불가의 이야기방 ★ > 불가의 믿음 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에서 목탁치는이유   (0) 2008.12.15
절하는 방법   (0) 2008.12.15
불교란 무엇인가?   (0) 2008.12.15
불교예절과 참배법   (0) 2008.12.15
108배의 상징   (0) 2008.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