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어로 바이사쟈구르바이두르야(Bhaisajyaguru-vaidurya)이며 약사여래불, 약사여래, 약사불 등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동방 정유리세계의 교주로 이름대로 대의왕불(大醫王佛)이라고 합니다.
이 부처님은 특히 중생의 질병을 치료하는 큰 서원을 세웠는데 12대원이 있습니다.
1. 자기와 다른이의 몸에서 나는 광명이 항상 환히 타오르기를 서원하고
2. 거룩한 위덕으로 중생을 깨닫게 하기를 서원하며
3. 중생으로 하여금 하고자 하는 바를 다 만족하게 하되 조금도 모자람이 없게 하기를 서원하고
4. 일체중생으로 하여금 청정한 행을 닦고 삼취정계를 갖추도록 하기를 서원하고
5. 일체중생으로 하여금 대승의 가르침에 편안히 머물기를 서원하고
6. 일체의 신체장애자로 하여금 그 장애가 완전하게 회복되기를 서원하고
7. 일체중생으로 하여금 온갖 질병을 다 없애고 몸과 마음이 안락하여 위없는 깨달음을 이루도록 하는 서원을 세우며
8. 모든 여인이 그 몸을 바꿔 남자로 태어나기를 서원하고
9. 일체중행으로 하여금 천마(天魔), 외도의 삿된 소견으로부터 벗어나 올바른 견해를 얻도록 포섭하기를 서원하며
10. 일체중생으로 하여금 폭군의 악정과 사회적 부조리, 강도나 기타 적으로부터 벗어나기를 서원하며
11. 기아에 허덕이는 중생들로 하여금 충분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되기를 서원하며
12. 가난하여 헐벗은 중생들에게 의식의 부족함이 없게 하며, 집없는 중생들에게 거주할 주택을 마련함에 어려움이 없기를 서원하였습니다.
이러한 12가지 서원 중에서도 질병의 고통이 가장 심하기 때문에 병의 고침을 가장 중히 여기십니다.
큰 연꽃 위에 앉아 왼손에는 약함을 들고ㅡ, 오른손은 시무외인을 맺고 있는 모습이 가장 많습니다. 좌우 보처는 일광변조보살과 월광변조보살이 있으며 전각은 약사전이나 유리보전이라고 합니다. 혹은 동방만월세계의 주인이라고 하여 만월보전이라고도 합니다.
팔공산 갓바위 약사여래불 (보물 431호)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 (보물 319호)
흥국사 만월보전의 약사여래불 : 등산과 유적답사의 산등성님 사진을 모셔왔음
금동 약사여래불입상 (보물 328호, 통일신라, 국립중앙박물관)
금동약사여래입상 (통일신라, 미국 보스턴박물관)
백율사 금동약사여래입상 (국보 28호) : 약사여래로 알려진 불상은 많아도 특징적 수인을 잘 보여주는 불상은 의외로 적군요. 대체로 대웅보전에 삼존불로 모셔진 불상들은 약함을 들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후불탱화를 보아야만 약사여래임을 알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흥사 대웅보전의 약사여래 : 후불탱화를 통해서 약함을 들고 계신 것이 확인된다.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국보 58호)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보물337호)
지리산 실상사 약사전의 철조여래좌상 (보물 41호) : 수인으로 볼 때는 아미타불로 보입니다만 전각에는 약사전이라고 되어있으니 어떻게 보아야 할지, 만든 사람의 의도도 중요하지만 현재 모시는 사람의 뜻을 더 존중해 줘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아산 평촌리석조약사여래입상 (보물 536호, 고려시대)
안성 굴암사마애약사불좌상 : 오히려 마애불 중에서 약사여래의 특징을 잘 나타내 주는 경우가 많군요.
하남 태평이년명약사여래좌상 (보물 981호,고려시대)
팔공산 마애약사여래불좌상
안동 옥산사마애약사여래불좌상
남산 윤을곡마애여래삼존불상 : 좌우의 두분은 손에 둥근 약함을 들고 있는 것으로보이지요.
일본 나라현 고후쿠지의 약사여래불
티벳 만다라의 약사여래 불화
티벳의 만다라에 보이는 약사여래 불화